<죄와 벌>은 제목처럼 죄란 무엇인가, 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라스콜니코프가 저지른 살인을 계기로 파헤치는 소설이다. 세기의 소설답게 엄청난 몰입감으로 순식간에 소설을 다 읽어버렸다. 뛰어난 배경 묘사는 둘째치고, 인물의 심리를 집요하게 파헤쳐 마치 독자가 살인을 저지른 라스콜니코프가 된 것 같은 착각을 준다. 그는 내가 세상을 구할 영웅일지도 모른다는 착각을 하고, 살인을 저지르지만, 곧 온갖 죄책감에 시달려 병자가 된다. 어머니와 여동생을 멀리하고, 친구도 멀리하며 고립하는 그는 살인을 저지를까, 말까란 고민에서 이젠 자백을 하여야 하나 말아야 하나란 기로에 선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러다 이 모든 것을 우연일수 없다며, 어쩌면 이 모든 것이 신의 섭리이자 계시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 죽음의 우연성을 목격한 것이다. 죽고자 했던 마을 여자는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살아나고, 반대로 죽을 생각이 없었던 술주정뱅이 마르멜라도프는 마차 사고로 죽음을 맞이한다. 이에 자신이 저지른 살인도 어쩌면 순리였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이 살인을 하고자 마음먹었던 것, 그리고 이 모든 것이 맞아 떨어 진다는 것, 자신은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질렀는데 경찰들이 증거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 다른 사람이 자신이 범인이라고 거짓 자백을 해서 용의자로 몰리게 되었다는 것. 이 모든 상황들이 마치 자신의 살인을 정당화하는 것처럼 비춘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상권에서 질문은 ‘죄는 누가 결정 하는가.’와 ‘죄를 지은 사람은 어떠한 벌을 받게 되는가.’이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 살고 있으므로 당대 문명이 정한 법도 안에서 죄가 결정된다. 그렇기에 죄는 환경과 문명과 역사에 따라 바뀐다. 과거에는 다른 나라를 정복하고, 피를 흘리고, 약탈을 하는 게 당연한 시대였다. 라스콜니코프가 학생 시절에 적었던 논문에서 그는 나폴레옹과 솔로몬, 알렉산드로 대왕 모두가 수많은 학살을 저질렀지만, 오늘날에는 혁명가와 영웅으로 칭송한다고 적는다. 그 내용을 재판관 포르피리에게 말하며 희생이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주장한다. 현재 자신의 죄를 방어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엔 큰 맹점이 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당대 문명이 정한 법도 안에서 죄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그들 스스로 변호해도 피를 흘리게 한 이들은 응당 벌을 받는다. 혁명을 했지만 다시 또 다른 혁명으로 죽임을 당하거나 라스콜니코프처럼 그들 스스로 평생을 죄책감에 시달리며 살아갈 것이란 예견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하권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죄를 지은 이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럼에도 살아가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사회는 죄를 지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란 물음에 답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하권이 더욱더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