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집이 너무나 어수선해서 더욱 관심이 갔던 미니멀 라이프 책 <집안일이 귀찮아서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했다> 읽어보았어요.
주말부부인데 제가 친정에서 평일에 머물다보니 주말에 우리 집만 들어가면 스트레스가 쌓이더라고요.
아무래도 집안일이 밀려 있으니 그 상태를 보는 것 자체가 피곤하다고나 할까... 신랑은 딱히 불편이 없는지 그냥 그러고 있는데 스트레스도 받고 화가 나기도 하고 그러더라고요.
집안일 하기 싫은데... 솔직히 직장생활을 해서 그런지 집안일에 능숙하지도 않아요. 집안일을 하다보면 시간이 다른 사람보다 평균 이상으로 걸려서 저만의 시간이 너무나 적어지는데...
집안일이 싫어서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했다니 저도 보고 좀 배워야 겠다 싶더라고요.
읽다보니 마음의 욕심을 하나하나 내려놓으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행복들도 아주 먼 곳의 일이 아닌 자기 가까이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우리 집도 날씬하게 버리고 버려서 집안일 좀 적게 하고... 저만의 시간도 좀더 가져볼 생각입니다.
특히 빠르게 진행하지 않고 조금씩 조금씩 해나가는 방식이 아주 마음에 들었네요. ㅎㅎ
맥시멀리스트가 미니멀리스트가 되는 여정을 보여주는, 제목만으로도 공감 팍팍! <집안일이 귀찮아서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했다>. 걸핏하면 "다 버려버릴 거야" 외치다가도 결국 말뿐인 세월을 보내온 분들 많으실 거예요.
에린남 저자도 신혼의 낭만이 집안일 때문에 잦은 부부싸움으로 이어지자 결심합니다. 안 그래도 집안일을 싫어했던 성격이었는데,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남편보다 많다는 이유로 억지로 하게 되니 스트레스만 쌓입니다.
해봤자 티 안 나는 집안일. 정리해도 어수선합니다. 그러다 일본 미니멀리스트 사사키 후미오 씨가 텅 빈 방 안에 앉아있는 모습을 보며 그렇게도 개운할 수가 없더라고! 물건을 줄이면 해야 할 집안일도 줄어들 거라는 결론에 다다릅니다.
필요한 최소한의 물건만 소유한 채 삶을 가볍고 단순하게 살아가는 미니멀리스트. <집안일이 귀찮아서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했다>는 초보 미니멀리스트의 도전기를 여과 없이 보여줍니다.
시간이 흐른 만큼 물건이 쌓이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이었던 저자는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결심하면서 당장 물건을 비워야 할 것 같은 조급함에 맞닥뜨립니다. 하지만 현실은 막막합니다. 호주에 있다보니 미니멀리스트에 관한 책을 주문해서 받아보는 시간조차 아까워 무작정 물건 비우기에 돌입합니다.
뭐든 경험을 해봐야 하는 건가 봐요. 비우기 아깝다는 이유로, 이상하게 집착이 생겨 버리지 못하고 방치했던 옷들도 꾸역꾸역 입고 외출해서 불편한 기분을 겪은 뒤로는 과감히 버리게 됩니다. 서랍장을 하나 처분해버리니 넣어둘 자리가 없어 이성적으로 판단하기 수월해지기도 합니다. 수납할 공간이 많을수록 정리가 쉬울 거라는 것은 그저 착각이었음을 경험합니다. 미련이 묻어있고 죄다 사연 있는 것들이지만 그것은 집착의 산물들일 뿐이라는 걸 깨닫게 됩니다.
잘 안 쓰는 전자제품도 처분하며 눈에 거슬리는 큰 덩어리부터 착착 해치우기 시작합니다. 대부분 남들이 필요하다니까 패키지처럼 샀던 물건, 누가 줘서 받아온 공짜 물건들이 비우기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미니멀리스트가 되려면 나를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평소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식생활은 어떤지, 집에서는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지에 대해서, 나를 잘 이해할수록 나에게 필요한 물건을 잘 알게 된다고 합니다.
시간을 들여 물건을 비우는 시간을 갖고 나니 물건을 비워낼 필요가 없도록, 애초에 쓸모없는 물건을 집 안으로 들이지 않겠다는 다짐도 하게 됩니다. 소비 습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미니멀라이프입니다. 선한 영향력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자연스럽게 재활용할 수 있는 용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을 멀리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에린남 저자도 이것만은 버리지 않는 게 있습니다. 평소 앨범 보는 걸 좋아해 사진은 버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단순히 추억의 물건이 아닌 좋아하는 물건이라고 말이죠. 저마다 유독 좋아하는 테마 하나쯤은 있을 겁니다. 그런데 소유하기만 한다고 다가 아니라는 것도 알려줍니다. 꾸준하게 돌봐줘야 하고 관리를 잘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미니멀 라이프마저도 다른 사람과 비교를 하다 위기에 처하기도 하는 등 좌충우돌 에피소드가 수두룩합니다. 하지만 결국엔 삶의 방식과 기준, 생각의 정돈을 통해 삶의 방향성을 찾아나가는 여정을 보여줍니다.
표지 띠지를 벗겨내면 지저분했던 집이 깔끔해진 모습으로 변한 그림이 나타납니다. 여전히 살림력은 늘지 않았지만 바라던 대로 집안일이 이제는 귀찮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고 합니다. 에린남 유튜브 채널도 있으니 구경해보세요.
맥시멀리스트들의 마음을 건드리는 책 <집안일이 귀찮아서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했다>. 이사하기 전에는 절대 해내지 못할 거야 하며 미루기만 했던 저도 자극 많이 받았어요. 집에서 여백을 발견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