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읽고 싶었던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앤의서재 출판사 책으로 처음 만났습니다.
제대로 읽기 전에 대략 들어본 바로는
앤젤라 카터의 <피로 물든 방>이나 셜리 잭슨의 <제비 뽑기> 같은 고딕 소설,
그리고 샬롯 브론테의 <제인 에어> 에서 마사가 나오는 장면이 풍기는
그런 비슷한 분위기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직접 경험해 보고 스스로 판단할 일이었어요, 역시!
호러, 서스펜스 , 공포 느낌보다는 연민의 시선으로 보게 되는 소설이더라구요.
세상에 없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 프랑켄슈타인의 행위를 보면
과학의 위험성을 알리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희한하게 프랑켄슈타인이 만들어낸 그 피조물인 괴물에게
자꾸만 연민의 감정이 생기더라구요.
소중한 가족들과 친구, 사랑하는 아내를 죽인
괴물에 대한 복수심으로 치닫는 빅터 프랑켄슈타인과 달리
괴물은 오히려 이성적으로 자신의 요구사항을 굉장히 설득력있게 이야기하거든요.
인간의 언어와 감정, 사회에 적응하기까지 빠른 속도로 습득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던 괴물이 진정으로 원했던 것은
이 세상을 힘과 그만의 능력으로 정복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 중에 하나인 그것,
외로움을 나눌 친구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괴물에게 주어진 삶의 시작은 하나의 생명체로 이 세상에 빅터에 의해 창조되었지만
인간들에게 이해받고 싶고 사랑받고 싶었던
그저 평범한 인간의 본질을 점점 보여주었던 부분이
제가 가장 몰입했던 지점이었어요!
인간은 혼자 살 수 없는 존재이고
빅터가 괴물의 친구를 만들어 주지 않는 한,
괴물 또한 빅터의 가족과 친구처럼 결국은 죽을 수밖에 없다는 것.
마치 신과 같은 능력을 보여줬지만 그도 결국은
영원할 수 없음을 암시하는 듯!
메리 셸리는 소설 <프랑켄슈타인> 을 쓰기 전에
남편이었던 퍼시의 삶에서 소설의 영감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독일의 신비학자이자 연금술사인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의 책을 접하며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빅터의 이야기가 소설에서도 나오는데
메리 셸리의 남편 퍼시 역시 그러했다고 해요.
당시 과학이 지금만큼 발달한 것도 아니고
당시에 오히려 과학을 사실로 접근하기 보다는
마술과 같이 경이로운 시선으로 봤다고 하니
그렇게 만들어진 괴물이라는 생명체가 온전하게 창조되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갈수록 인간을 알아가는 습득 능력이 정말 신의 경지 같기도 하고.^^;
악마의 존재가 등장하는 이 장면은
개인적으로 몰입도 최고조를 찍었던 순간!
<프랑켄슈타인> 같은 소설은 정말 영화나 뮤지컬처럼
다른 형태의 예술작품으로 만나도 너무 흥미롭고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아직까지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을 보지 못했는데
소설을 접했으니 조만간 뮤지컬로 만날 날도 당겨질 듯 하네요.^^
"나는 내가 태어난 날을 저주한다.
나의 창조주를 혐오한다. "
사랑받고 싶은 대상이었던 인간이 자신의 내면을 보려 하지 않고
흉측한 겉모습만 보고 괴물이라고 치를 떠는 모습에
자기혐오까지 더해져서 마지막 희망으로
외로움을 나눌 친구를 간절히 바라게 되는데요.
부단한 노력과 설득으로 프랑켄슈타인의 약속을 받아내지만
결국 괴물은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으려는 프랑켄슈타인의 의도를 알고
처절하게 그의 소중한 사람들을 차례차례 죽이게 됩니다.
빅터와 괴물 모두 복수심에 불타는 전개로 결말까지 나아가는데요.
슬픈 둘의 엔딩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이 소설을 처음으로 열었던 화자는 로버트 월턴.
북극을 항해하던 선장이었고
그가 북극에서 만난 이방인이 바로 프랑켄슈타인이었습니다.
그에게서 신비롭고도 희한한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기록해 두었던 것을
로버터의 누이 마거릿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전하게 되죠.
월턴으로 시작되었던 소설의 화자가 프랑켄슈타인도 되었다가,
중간에 악마가 프랑켄슈타인과 대화를 하기도 하죠.
시간과 공간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크고 작은 사건들이 이어지고
끝까지 흡입력있게 전개되는 소설이었어요.
근래에 이렇게 재밌게 읽은 소설이 있었나 싶습니다.^^
프랑켄슈타인은 주워들은(?) 과학적 지식을 가지고
자신이 대단한 일을 하는 양 호기심으로 세상에 없던 생명체를 만들었었죠.
막상 흉측한 악마의 모습을 보더니 도망갔으면서
버려진 악마가 복수심으로 자신의 소중한 사람들을 죽이니까
그 때가 되서는 복수하기 위해 괴물을 쫓는 모습은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인간의 본성, 그 자체였습니다.
어떤 인간보다도 공감할 줄 알고, 사랑을 베풀었던 악마였지만
인간으로 인해 상처받고, 철저히 버려진 괴물에게
마음이 쓰이지 않을 수 없었어요.
괴물이 느끼는 상처와 상실감은 프랑켄슈타인이 사랑하는 이들을 잃는 것에
결코 지지 않을 만큼의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세상에 이렇게 위험한 존재를 만들어 냈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과학의 위험성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도 있지만
좀 더 면밀히 들여다봐야 하는 작품인 것 같아요.
괴물을 통해 저는 인간의 본성을 더 깊이 들여다보게 되었고
당시 사회 문제에 대한 작가의 인식도 눈여겨봐야 할 소설인 것 같아요.
소설 <프랑켄슈타인> 의 작가 메리 셸리는 당시
노예 해방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다고 해서
그 지점을 염두에 두고 한 번 더 읽어봐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인간의 삶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것이 문학이고 소설이지만
동시에 보이지 않는 것도 있어서 참 읽어내기가 녹록치 않은 장르이긴 하죠.
어렵지만 읽어냈을 때의 그 희열을 이겨내는 것이 또 없어서
제가 문학덕후가 된 것이기도 하구요.^^
여러모로 오독하기 쉬운 소설 중에 하나가 바로
<프랑켄슈타인> 이 아닌가 싶기는 한데
소설의 매력은 또 재미 아니겠어요?
우선 작가가 의도하는 것을 찾아내려고 소설을 읽으려고 들면
머리만 아파지니까 다른 건 다 접고 그냥 이야기에 몸을 맡겨 보세요.
재미 보장합니다.^^
이렇게 재밌는 소설이라고 왜 주변에서 얘기를 안 해줬나 싶을 정도였어요.
19살에 쓰기 시작한 소설이라니 한 번 더 놀라울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