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대하는 자세. 즉 마음이 어떤가에 따라 삶의 질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이 책에는 상세하게 나옵니다.
돈이 많고 적은 게 아니라, 스스로를 바라보는 그 태도.
"근심하지 마라. 행동하라"라는 말처럼. 근심의 시간을 줄이고 행동하고 부딪혀 싸우라는 말이 더 나은 말로 들립니다.
이 책을 읽으며 저는 두 가지 생각을 했습니다.
즉, 나이가 들어서 외로움과 고립감이라는 가장 안 좋은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에서 노년의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서로를 챙길 수 있는 곳, 프로그램이 가까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그 역할을 작은 도서관과 지역의 도서관이 해 주면 좋겠단 생각이 들더군요.
어느 누구도 자신의 노년이 질병과 치매로 고통받기를 원치 않는다. 죽을 때까지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내다 하늘의 부르심을 받으면 그때 조용히 가기를 원할 것이다. 100세 시대가 도래했다고 하지만 생활습관을 바꾸고 꾸준히 실천하지 않으면 요원한 일이다. 나이 듦에 대한 걱정이나 두려움이 생겼거나 미리 준비하고 싶다면 당장 이 책을 읽고 해답을 찾기 바란다. 책에 소개된 사람들은 하나같이 우리들보다 앞서 살았던 인생 선배들로 배울 점들이 많다. 그 어떤 유명인이 남긴 명언이나 진리를 깨우치는 철학자의 목소리보다도 훨씬 가슴으로 와닿았다. 우리가 바라는 인생을 살고 싶다면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보자.
"어떤 책임이 주어지면 하기 싫어도 해야 해. 그러니 나이가 들수록 무언가에 책임을 가지는 게 중요하다네."
98세가 되어서도 강연을 다니는 조시의 말은 목적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알려준다. 책임 있는 무언가를 맡아 한다면 노년을 무료하지 않고 보람차게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이나 즐거움도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거나 나누는 사람들이 많이 느낀다고 하는데 그래서 봉사활동을 적극 추천하나 보다. 내가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것을 나누고 도움을 줄 기회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과 즐거움을 느낀다. 노인 사회복지관에서 인턴으로 잠깐 일했을 때도 새로운 것을 배우고 탁구 치며 운동할 때 활기가 돌았던 기억이 난다. 나도 저분처럼 멋지게 나이 들고 싶다는 바람을 갖게 했다.
평생 좋은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두뇌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 '두뇌 건강을 위해 실천해야 할 10가지 지침'은 아래와 같다.
1. 운동하라
2. 지중해식 식단과 과일, 채소를 섭취하라
3. 인지 기능을 훈련하고 자극하라
4. 창의력을 발휘하라
5. 숙면을 취하라
6. 약물 복용을 주의하라
7. 배움을 계속하라
8. 보청기를 착용하라
9. 건강을 관리하라
10. 사회적 고립을 피하고 우울증을 치료하라
운동, 과일과 채소 섭취, 소식, 숙면, 배움이야말로 장수하는 비결이 아닌가 싶다. 노인이 된다는 건 피할 수 없는 자연의 섭리지만 서글픈 기분도 든다. 근데 그보다 서글픈 건 몸이 병들고 아플 때인 것 같다. 아직 건강 관리가 가능한 중년부터 좋은 생활습관을 실천하고 유지시켜야 노년이 되어서도 꾸준히 사회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책에서 만난 수많은 사례자들의 모습처럼 늘 긍정적인 태도와 균형 잡힌 습관을 내재화한다면 모든 우려는 기우에 그칠 것이다. 나이 듦에 대한 조언은 이 책 한 권이면 된다. 훗날을 기약하며 삶의 지혜를 내 것으로 삼아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꿈꿔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