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품의 태그 #니체의말 내서재에 추가 삭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전집 13 프리드리히 니체 저/정동호 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전집 13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니체의 자존감 수업 사이토 다카시 저/황미숙 역 니체의 자존감 수업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문예 세계문학선 085 프리드리히 니체 저/황문수 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문예 세계문학선 085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 - 니체전집 7 프리드리히 니체 저/김미기 역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 - 니체전집 7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열린책들 세계문학 233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저/김인순 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열린책들 세계문학 233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유고 (1875년 초~1876년) - 니체전집 6 프리드리히 니체 저/최문규 역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유고 (1875년 초~1876년) - 니체전집 6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유고 (1888년 초~1889년 1월 초) - 니체전집 21 프리드리히 니체 저/백승영 역 유고 (1888년 초~1889년 1월 초) - 니체전집 21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 니체전집 14 니체 저/김정현 역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 니체전집 14 이동 내서재에 추가 삭제 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 니체전집 2 니체 저/이진우 역 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 니체전집 2 이동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니체 전집> 제19권. 1885년 가을부터 1887년 가을까지 2년에 걸친 니체의 사유의 흐름과 작품 구상을 보여주는 유고집이다. '힘에의 의지'라는 표제로 구상했다가 니체 스스로 포기한 책과 관련된 글, 그리고 1886년과 1887년에 출판된 <선악의 저편>과 <도덕의 계보>의 저술노트로 구성되어 있다. 말년의 절망적인 투병 생활에 들어가기 직전의 니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 유고들은 심리학, 도덕, 형이상학, 종교, 예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니체가 사유한 단상들과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상념들을 전해준다. 특히 니체 후기 사상의 핵심인 가치전도와 새로운 철학에의 구상을 만나볼 수 있다. 이 책에서 니체는 전통 형이상학을 인과주의로 규정하면서 이 인과주의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즉, 전통 형이상학이라는 거대한 체계를 파괴하고 해체하는 동시에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작하고자 했다. 더보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N VII 2b. 1885년 가을~1886년 봄 2=W I 8. 1885년 가을~1886년 가을 3=WI 7b. WI 3b. Mp XVI 3b. Mp XVI 1b. 1886년 초~1886년 봄 4=D 18. Mp XV 2c. Mp XVII 3a. Mp XVI 1b. 1886초~1886년 봄 5=N VII 3. 1886년 여름~1887년 가을 6=Mp XIV 1, S. 416~420. Mp XVII 3 a. Mp XV 2 d. P II 12 b, S. 37. 1886년 여름~1887년 봄 7= Mp XVII 3 b. 1886년 말~1887년 봄 8=Mp XVII 3c. 1887sus 여름 주 해설 연보 더보기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책세상 니체전집 19권《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 : 원래 나는 나를 어느 정도 나 자신에게서 보호해주고 외)》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1885년 가을부터 1887년 가을까지 2년에 걸친 니체의 사유의 흐름과 작품 구상을 보여주는 유고집으로, ‘힘에의 의지’라는 표제로 구상했다가 니체 스스로 포기한 책과 관련된 글, 그리고 1886~1887년에 출판된 <선악의 저편> 과 <도덕의 계보>의 저술노트로 구성되어 있다.말년의 절망적인 투병 생활에 들어가기 직전의 니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 유고들은 심리학, 도덕, 형이상학, 종교, 예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니체가 사유한 단상들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상념도 엿보게 한다. 특히 이처럼 풍부한 내용 가운데서 니체 후기 사상의 핵심을 추출할 수 있는데, 가치전도와 새로운 철학에의 구상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에서 니체는 전통 형이상학을 인과주의로 규정하면서 이 인과주의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을 분명하게 피력하고 있다. 즉 니체는 전통 형이상학이라는 거대한 체계를 파괴하고 해체하는 동시에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작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모든 사건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니체의 사유를 드러내고 있는 이 책은 새로운 세계관을 준비하는 니체를 보여줌으로써 그의 사상에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