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식탁 ] 보통날의 가치, 나를 챙기는 사계절 식사, 그리고 시골 생활
지난해, 가을이 시작될 무렵 이 책을 읽었다. 그리고 겨울에 ‘겨울’ 부분만 다시 읽었다. 다가오는 봄에 ‘봄’ 부분을 한 번 더 읽을 생각이다. 계절마다 꺼내서 읽고 싶은 책이다. 재미 보다는 마음의 여유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책을 읽다 보면 영화 [리틀 포레스트]가 많이 생각난다. 영화를 여러 번 봤는데, 재미보다 마음의 편안함이 더 크게 와 닿았다. 이 책도 같은 의미다.
도시에서 음식 관련 일을 했던 저자는 도시 생활을 접고 시골살이를 시작한다. 도시의 삶은 활기차지만 쉬 지친다. 도시는 편리하지만 너무 빨라 놓치는 것이 많다. 시골은 불편함과 부족함이 있지만, 그것을 감수한다면 모든 면에 여유가 있다. 도시인은 그래서 시골을 찾는다. 불편함과 부족함을 극복하면 오래 남고, 극복하지 못하면 다시 도시로 들어간다.
저자가 시골에서 하는 일이라는 게 도시에서의 직업과 다르지 않다. 재료를 손질해서 음식을 만든다. 직접 가꾼 작물도 있고 주변에서 얻은 것도 있다. 계절 재료를 이용해서 계절에 맞는 음식을 만든다. 음식에 정성을 들이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가족을 챙겨본다. 사람을 적게 만나고, 덜 바쁘게 살면서 자연을 마주하는 일이 더 늘었다. 시골 생활도 능숙해지고, 생각은 깊어지되 부담은 없다. 똑같은 일상이 도시에서는 그렇게 힘들었는데 시골에서는 평화롭다.
유튜브로 찾아보는 영상 중에 전원생활을 소개하는 채널이 여럿 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전원으로 들어가서 살아야지’하고 마음 먹지만 몸 움직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시골이라니. 도시의 편리함에 한번 익숙해지면 그 굴레를 벗어나기 힘들다. 저자의 시골생활은 좋은 결실을 맺고 있어서 다행이다.
도시에서는 핸드폰만 열면 음식이 눈앞까지 배달되고 종류도 무궁무진하다.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새로운 먹을거리를 맛보는 재미가 있었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읍내에 나가도 식당 종류가 별로 다양하지 않다. 그러다 보니 먹고 싶은 게 있으면 직접 만들어 먹는 게 빠르다. 그 덕에 요리 공부를 할 때보다 여기 와서 요리가 더 늘었다.
시골살이는 자유롭고 평화롭지만 가끔은 어쩔 수 없이 고립감을 느낀다. 도시에 살 때처럼 즐길 문화생활도, 특별한 먹을거리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시골살이를 포기할 수 없는 것은 그마저도 즐거운 에피소드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 가끔은 실패해도 괜찮아. 콩 커리
정성스레 음식을 만들고 소중한 사람과 같이 먹는 일은 ‘일상’이다. 그런데 사는 일에 치여 일상이 즐겁지 않고 힘들다면 잘못 사는 것 아닌가 살펴봐야 한다. 성공을 위해서 기본적인 일상을 포기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도시 생활의 ‘기회와 성장’을 개인의 행복과 맞바꾸는 것도 서글픈 일이다.
저자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제철 재료로 계절에 걸맞은 음식을 만든다. 이 책은 ‘어쩌면 조금 지쳐 있을 당신에게 전하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사계절 식탁 일기’다. 영화 속 김태리가, 책 속 저자가 도시를 떠나 시골로 들어온 이유는 같다. 도시 생활에서 얻은 몸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려는 것이다. 자연과 계절 음식으로, 가족의 사랑으로 허기진 마음을 채우는 것이다. 한결같은 자연과 간소하게 차려낸 식사는 본인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위로와 긍정의 마음을 심어준다.
여기, 외갓집이 있는 합천과 오생리 우리 집을 오가며 자연을 만나고 거두고 요리해 차려낸 삼 년여의 시간을 담았다. 계절이 느리게 키워낸 제철 재료를 손질하고 작고 순한 마음을 얹어 나를 대접하는 시간은 그 자체로 치유였고, 다시 일어설 힘도 생겼다. 어떨 때는 별것 아닌 한 접시에서 유년 시절의 추억이 솔솔 피어나 달큼한 미소를 짓기도 했다. 대수롭지 않은 보통날의 가치를 이제야 알겠다. 현신은 언제나 예측하기 어렵지만, 한결같은 자연 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부지런히 움직이면 다 괜찮을 거라는 무작정의 긍정이 생겨난다. 지금 나의 마음은 더 이상 허기지지 않다. 간소하게 차려낸 사계절이 누군가에게도 위로이자 회복이 되었으면 좋겠다. 프롤로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