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도레미. 다섯 살 하얀 고등어 태비 고양이입니다. 에리와 함께 살고 있어요.”매년 9월 9일은 ‘한국 고양이의 날’이다. 고양이 전문작가로 활동해온 ‘야옹서가’ 고경원 대표가 제안한 ‘고양이의 날’은 고양이가 주어진 수명만큼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자 아홉 ‘구(九)’와 오랠 ‘구(久)’를 차용해 매년 9월 9일을 기념하고 있다.고양이와 집사의 행복한 공존을 바라는 영화도 눈에 띈다. 2017년 대만, 일본, 한국 3국 고양이의 모습을 보여주며 ‘웰메이드 고양이 다큐멘터리’로 호평 받은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두 번째 이야기 〈고양이 집사〉는 길거리 집사들을 홀린 고양이와 그들에게 몸도 마음도 다 털린 집사들의 ‘직진 로맨스’를 그려 애묘인을 사로잡았다. 배우 임수정이 유기묘 ‘레니’로 분해 행복한 집사들의 모습을 고양이의 시선에서 전달해 더욱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고양이 도시락을 배달하는 중국집 사장님, 남겨질 고양이를 걱정하며 밥을 주는 생선가게 할머니, 재개발로 집을 잃은 철거촌 고양이를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는 철거촌의 집사들, 부산 바닷가에서 고양이 마을을 꿈꾸는 청년 사업가…… ‘고양이의 날’과 영화 〈고양이 집사〉에서 볼 수 있듯이 고양이와 집사의 ‘묘(猫)연’은 단순한 동물 이야기를 넘어 고양이와 사람이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상의 가치를 일깨운다. 지구는 사람들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것이라는 메시지, 반려동물과의 삶은 ‘우리’라는 이름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실천인 셈이다.오랫동안 떨어져 지낸 집사의 목소리를 기억해 품에 안기고, 어디에서든 이상한 자세로 그루밍이나 쭉쭉이를 하고, 틈만 나면 좁은 곳에 들어가기를 반복하는 엉뚱하고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고양이의 눈에 비친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고양이의 마음은 정말 고양이밖에 모르는 걸까? 자신이 잠시만 안 보여도 찾아 나서는 츤데레 ‘도레미’를 마냥 사랑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히라노 에리코(에리)는 고양이를 좋아하지만 키운 적은 없는 초보 집사다. 그래서일까. 도레미를 데려오기 전까지 고민을 왕창 하고, 데리고 와서도 자기 때문에 행복한지 노심초사 불안해한다. 그렇다고 걱정할 수만은 없는 노릇. 에리는 조금이라도 고양이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냥이의 일상을 글과 그림으로 담기 시작했다. 엉뚱하고 자유로우며 외로움을 잘 타는 도레미와 초보 집사 에리의 이야기를 담은 『나는 도레미』는 ‘고양이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알 수 있을까’라는 ‘절박한’ 마음에서 시작한 바로 ‘우리’ 이야기다. 도레미를 향한 애정이 담뿍 담겨 있는 글과 귀여운 도레미의 행동을 하나도 놓치지 않겠다는 마음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그림. 『나는 도레미』는 고양이의 마음을 읽고 싶은 모든 집사와 애묘인의 바람을 담은 책이다. 세상의 모든 고양이가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 언젠가는 그 생명의 무게를 주저 없이 안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는 바람. 『나는 도레미』를 당신에게 소개한다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