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 많으신 어른들이 하시는 말씀이 있다.
"내 이야기를 책으로 엮는다면 책 몇 권을 써도 남는다". 혹은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는 책이다." 라고.
자신의 이야기를 몇 권의 책으로 엮는 사람이 있다. 바로 2022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아니 에르노이다.
프랑스 소설가 아니 에르노.
아니 에르노는 자신의 체험만을 쓰기로 유명한 작가로 자신이 직접 겪은 일만을 쓰는 작가이다. 자신의 일생만으로 수많은 책을 써내려온 작가는 '삶이 이야기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해냈다.
《빈 옷장》 《세월》 《단순한 열정》 그 외 수많은 작품 중 그녀의 짧은 소설 『한 여자』를 펼쳐든다.
한 여자. 바로 자신의 어머니를 한 여자로 어머니의 일생을 객관적인 시점에서 펼쳐 보이는 이 짧은 소설이기 때문이다. 소설을 펼쳐들며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겨난다. 엄마의 인생을 딸이 과연 객관적으로 쓴다는 게 가능할까?
애증의 모녀관계. 끈끈하면서도 끈끈하기에 더욱 얽어매져 있는 이 모녀 관계가 단순히 한국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비비언 고닉의 <사나운 애착>도 그렇고 미셀 자우너의 <H마트에서 울다> 에서도 모녀 관계는 사나우면서도 다정한 애착을 보여준다. 과연 아니 에르노는 자신의 어머니를 어떻게 써내려갔을까?
나는 어머니에 관한 글을 계속 써나가겠다.
어머니는 내게 진정 중요했던 유일한 여자이고, 2년 전부터는 치매 환자였다.
소설은 어머니의 부고로부터 시작된다. 노인요양원에서 삶을 마감한 어머니. 그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룬다.
어머니는 이제 안 계시지만 저자는 글로써 어머니의 삶을 소환한다. 한 여자의 삶을 복기하고 되새긴다.
요양원에서 어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면서 저자는 함께 방을 쓰던 어떤 여자를 보며 생각한다.
"나는 그 여자는 아직 살아 있는데 내 어머니는 죽었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았다."
어머니의 부고 또는 질병 앞에서 슬픔과 동시에 떠오르는 건 분노이다. 왜 저 사람은 살아있는데 우리 엄마만, 아빠만 이런 고통을 겪는 것인가. 에세이 <H마트에서 울다>에서 저자도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엄마의 부재 앞에서 동년배의 한국 아줌마를 보면서 분노한다. 짜증이 난다고. 부아가 난다고. 엄마는 세상에 없는데 이 생면부지의 여인은 살아 있다는 사실에 화가 치밀어 오른다. 저자 역시 마찬가지다. 똑같은 방을 쓰는데 왜 우리 어머니만 죽었는가. 다른 사람들은 저자에게 이제 다 끝났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제부터 시작이다.
소설 『한 여자』 는 그렇게 어머니의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6년 프랑스 이브토에서 여섯 아이 중 넷째로 태어난 어머니. 엄한 어머니, 다감한 아버지 밑에서 자라났고 그 당시 대부분의 삶이 그러했듯 교육은 겉치장에 불과했던 시대. 산업 혁명 시절과 맞물려 대규모 공장에서 일을 하며 노동자로 삶을 살아가는 어머니의 청년기 시절이다.
여자에게 결혼이란 삶 또는 죽음이었으니,
둘이 되어 보다 쉽게 궁지에서 벗어나리라는 희망일 수도 있고
결정적인 곤두박질로 끝날 수도 있다.
한 여자의 삶. 나의 엄마도 그렇고 다른 대부분의 어머니들의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는 이야기가 결혼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쓰여진다. 희망, 또는 추락. 그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한 이야기. 저자의 어머니 또한 그랬다.
현실에 안주하며 정착하길 바랐던 아버지, 더 높은 삶을 갈망한 어머니, 삶은 더 바라는 자에게 선택이 주어진다. 아버지의 안정보다 어머니의 갈망이 더 컸기에 어머니와 아버지는 살던 곳을 떠나 새로운 도시에서 카페 겸 식료품점을 시작한다. 이제 스물다섯의 어린 나이에 실질적인 가장 역할을 해나가는 여자는 말한다.
"날 보고 자갈을 팔래도 팔 수 있었을걸!"
장사 하시는 어머니, 전쟁중에도 어린 딸을 산책시키기 위해 아주 잠깐의 찰나에도 유모차를 끌던 어머니.
한 명의 고객이라도 더 붙들기 위해 변해가는 어머니. 그 어머니의 모습은, 단순히 저자만의 어머니, 한 여자가 아니었다. 바로 우리 시대의 모든 어머니들의 이야기였다. 그렇게 한 여자의 삶은 보편적 여자의 삶을 그려나간다.
저자가 커가면서 자연스레 생기는 모녀간의 갈등. 시간이 주는 괴리. 담담하게 써내려가지만 그 사이의 여백을 딸이라면 느낄 수 있다. 그 여백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는지는 딸들만이 알 수 있다.
어머니는 자기 자체로는 사랑받지 못할까 봐 두려워하며,
자신이 주려는 것으로 사랑받기를 바랐다.
책을 읽으며 나의 엄마와 저자의 어머니에게서 가장 공감했던 부분이였다.
아니 나는 비로소 엄마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해야하겠다. 매번 내려갈 때마다 차 한 가득 음식을 퍼주시는 엄마. 그것도 모자라 며칠 후 택배 한 상자를 보내오는 엄마. 우리는 극성이라고 말하며 그만 주라고 말한다.
나는 엄마의 표현이 과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서야 알겠다.
그 음식들이 사랑받고 싶다는 반어적인 표현이라는 걸. 사랑해달라는 표현이었음을 이제서야 알겠다.
끊임없는 헌신, 손주들을 돌보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싶어했던 한 여자. 하지만 세월은 한 여자의 희망을 서서히 그리고 급격히 무너뜨린다. 알츠하이머라는 무서운 지우개로 머리 속의 기억을 지워나간다. 한 여자는 그렇게 아이가 되어가고 삶의 마지막을 향해 다가간다.
나는 내 딸이 행복해지라고 뭐든지 했어.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걔가 더 행복한 건 아니었지.
기억을 잃어가는 중에도 문득문득 자신이 알지 못했던 한 여자의 기억. 어머니는 삶을 잃어가는 중에도 가끔씩 인식하고 기억했다. 그렇게 삶의 끝자락을 한없이 붙잡았고 마무리해갔다.
이 책에는 어머니의 삶을 최대한 무미건조하게 써내려간다. 제3자의 시선인 것처럼. 감정을 절제하고 한 여자의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듯하다. 하지만 나는 다시 궁금해진다. 딸이라면, 여자라면 이 글들을 건조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나는 그럴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왜? 한 여자의 삶은 나의 어머니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그 시대를 이겨낸 수많은 여자들의 삶이기도 했다. 자식을 위해선 뭐라도 하고 살아남기 위해서 카멜레온처럼 변하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우리 모두의 삶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삶이 최고의 이야기'라는 걸 그렇게 증명해냈다.
이 소설을 읽고 아니 에르노의 다음 소설을 읽는다면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를 권하고 싶다.
어머니의 마지막을 지켜나간 저자의 기록이 담긴 이 소설이 저자의 어머니와 저자의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라 믿는다.
노벨문학상은 아니 에르노 수상자에 대한 평을 "개인적 기억의 뿌리, 소외, 집단적 구속 밝히는 용기와 임상적 예리함"이라고 말했다. 개인적 기억의 뿌리. 그 시작을 이 『한 여자』로 시작해 보는 것도 꽤 많은 도움이 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