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아 역사책은 각 지역별 나라별로 먼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하게 책을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역사 책을 보다보면 항상 아쉬운게 지리적인 감각이 저한테 모자라단 점과 지리 공부가 따로 필요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와중에 이 책은 정말 기다리던 책이 딱 나온 인상을 받았습니다. 인문 역사 공부에서 지리 정보가 아쉬울 때 일단 필요한 것은 지도입니다. 문제는 지도를 봐도 음 어디에 뭐가 있고 그 옆엔 뭐가 이렇게 계속 나가는데, 이 책에서는 일단 지도를 어떻게 풍부하게 볼 것인가를 지도의 원리와 역사부터 지도를 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는것도 너무 맘에 드네요.
뿐만아니라 그 지도로 파악한 지형과 강과 산맥과 대양과의 관계부터 해서 어떤 지질학적 기후적 환경을 가지고 있는지, 그로부터 자원과 에너지와 생태는 어떻게 구성되는지가 유기적으로 쭉 나오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 인문사회적인 환경에 대한 얘기까지 연결되어서 정말 흥미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