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다 읽고 기억에 남는 단어는 혁신이었습니다.
책을 읽은 뒤 저에게 혁신은 황사장님이 말한 뜻의 혁신이 더 마음에 남습니다.
이책은 답답하고 속이 꽉 막힌데 꾸역 꾸역 다른 회사를 다녀보는 기분이 드는 듯 한 책이었습니다.
처음에는 회사 이야기라 책장을 넘기는 것 자체가 야근하는 기분이 들어 어려웠지만 어느 페이지까지 읽고 나니 이틀만에 읽게되었습니다.
모든 캐릭터들의 성격이 다르고,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도 다르고,
갈등이 있을 수 밖에 없고, 그런 것들은 소설을 통해 한눈에 이해관계를 살펴보며 읽는 것이 재밌게 느껴졌습니다.
황사장님의 등장에 통쾌하기도 하고 짠하기도 하고 , 문대리도, 다른 사람들도, 내가 아는 회사 사람이야기, 내가 다녔던 회사 사람 이야기, 내친구 회사사람 이야기를 듣는 기분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회사 그만 두고싶을 때 읽으니까 , 남들은 어떨지 몰라도
저는 누군가 책 안에서 회사를 그만둘 때마다 대리만족하며 읽었습니다.
그만두는 사람들을 보면서 어느 회사나 다 사람 뽑고 그만두고 사람 뽑고 그만두고.
회사생활 다 비슷비슷하구나 싶습니다.
나에게 중요한것이 회사인지 돈인지 시간인지 나인지
소통인지 힘인지. 한번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
84p
임원들이 가짜를 말해도 회장이 진짜라면 진짜가 되고 진짜를 말해도 회장이 가짜라면 가짜였다. 사고 원인을 결정한 사람도 회장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당연했다. 그런 것이었다.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었다.
208p
주간 공정 회의에서는 독불장군처럼 보였지만 카스 회에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사람의 성격이란 손발을 맞추는 사람에게 달린 것이기도 했다.
244p
나는 기어이 임원들을 옹호하고야 마는 사람들이 불편했다. 하지만 비난하고 싶지는 않았다. 나이가 들면서 지켜야 할 가족과 체면이라는 것이 생긴 사람들이었다. 서른하나, 나 역시 곧 그 대열에 들어가게 될 터였다.
289p
권 부사장은 황사장처럼 사람들을 몰아붙이지 않았고 궁지로 내몰리지 않은 사람들은 문제 속의 문제, 문제의 뿌리까지 꺼내 보이지 않았다. 문제의 뿌리를 캐내지 못했으므로 대안과 대책은 합의에 그쳤고 합의였기 떄문에 책임은 한 사람의 것이 아니었다. 책임이 모든 사람에게 있었으므로 어느 한 사람도 책임질 필요가 없었고 책임질 필요가 없었기 떄문에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이 아니었다. 문제는 다른 문제로 모습을 바꾸며 다시 예전처럼 묻히고 덮였으며 그 위로 다른 문제들이 또 쌓였다.
324p
"지금이야 막막하고 답답하겠지만, 별별 생각 다 들겠지만 살아보면, 살고 보면 참 별거 아이라, 사는거." 나는 웃었다. 감추고 억누른 불안과 두려움이 꿰뚫린 것 같았다. "감사합니다. 명심할게요." 하고 고문이 덧붙였다. "연연할 것 없는 기라. 지나고 나면 다 좋은 것만, 좋았던 것만 남는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