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는 전쟁의 폐허를 극복하고 새로운 경제 질서를 수립하기 위한 대규모 복구 사업을 전개했다. 마셜 플랜으로 대표되는 유럽 재건 계획부터 브레턴우즈 체제의 확립, UNRRA의 난민 구호활동까지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이 시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적 의미의 국제 원조 체계가 형성되었으며, 전후 경제 부흥의 초석이 마련되었다.냉전 체제의 심화와 함께 원조는 더욱 체계화되어 트루먼 독트린, 케네디 행정부의 개발원조 정책, 콜롬보 플랜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지원 프로그램이 확대되었다. OECD 개발원조위원회의 설립은 선진국 원조의 표준화를 이끌었고, 세계은행과 UNDP 같은 국제기구들은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했다. 특히 록펠러 재단의 녹색혁명 프로그램은 제3세계 농업 생산성 향상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1970년대에 이르러 국제 원조는 더욱 다변화되었다. 아랍 산유국들의 원조 참여, 국제 NGO의 성장, 난민 지원 체계의 제도화가 이루어졌다. 반둥회의를 통한 제3세계 협력 강화, 비동맹 운동의 확산은 남남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촉발했으며, 국제 개발협력의 현대적 패러다임 형성으로 이어졌다. 더보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 마셜 플랜과 유럽 경제 재건의 시작2. 브레턴우즈 협정과 국제 통화 질서의 재편3. UNRRA와 전후 최초의 국제 구호 활동4. 독일 산업의 부활과 석탄철강공동체5. 맥아더 체제와 일본의 경제 부흥6. 케네디 행정부의 개발원조 정책 혁신7. 트루먼 독트린과 냉전기 원조 전략8. 콜롬보 플랜으로 본 아시아 지역 협력9. OECD와 선진국 원조 체계 확립10. WFP 설립과 국제 식량원조의 시작11. 록펠러 재단과 녹색혁명의 전개12. UNDP의 글로벌 개발 프로그램13. 맥나마라와 세계은행의 빈곤 퇴치14. 아프리카 신생국 독립과 원조 외교15. 반둥회의와 제3세계 협력 운동16. 오일쇼크와 중동의 원조 정책 변화17. 국제 NGO의 성장과 민간 원조 활동18. 베트남 전쟁과 난민 구호 시스템19. 원조의 효과성과 새로운 국제 협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