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인권의 철학적 근거를 탐색하는 여정은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부터 현대 디지털 시대까지 이어져 왔다. 본서는 인간의 권리가 자연법적으로 부여된 것인지, 혹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구성된 것인지에 대한 오랜 철학적 논쟁을 열다섯 개의 역사적 분기점을 통해 심도 있게 고찰한다.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의 논쟁, 로크의 자연권 사상, 홉스의 사회계약론에서부터 현대의 그린피스 운동과 코로나19 시대의 인권 문제까지, 시대를 관통하는 인권 담론의 진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버지니아 권리장전, 웨스트팔리아 조약, 파리 코뮌, 뉘른베르크 재판 등 인류 역사의 주요 전환점들은 인권 개념의 발전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저자는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자연법적 인권관과 합의론적 인권관이 어떻게 충돌하고 조화를 이루어 왔는지 면밀히 추적한다. 특히 칸트의 인격 존중 사상,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적 접근, 롤스의 정의론,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 등 주요 철학자들의 사상이 현실 정치와 만나 인권 개념을 확장시켜 온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현대 사회의 첨예한 인권 문제들 역시 이러한 철학적 긴장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된다. 존엄사를 둘러싼 생명권 논쟁, 빅데이터 시대의 프라이버시권, 이슬람 문화권의 여성인권, 팬데믹 상황의 기본권 제한 등 동시대적 사례들을 통해 인권의 자연법적 토대와 합의론적 성격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미래 사회의 새로운 인권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철학적 통찰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 자연법적 인권론과 소크라테스의 도덕 실재론2. 로크의 재산권 이론과 버지니아 권리장전3. 리바이어던과 웨스트팔리아 평화조약4. 칸트와 프로이센 계몽주의 운동5. 1848년 혁명과 공리주의적 인권관6. 파리 코뮌과 사회권의 탄생7. 뉘른베르크 재판과 보편적 인권8. 냉전시대 롤스의 정의론과 시민불복종9. 68혁명과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10. 존엄사 운동과 인간의 자기결정권11. 그린피스와 제3세대 인권론12. 보스니아 내전과 인도적 개입의 딜레마13. 빅데이터 시대와 프라이버시권의 진화14. 이슬람 여성인권과 문화적 보편성15. 코로나19와 비상사태의 인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