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소굴 세계문학 두 번째 작품 <닉 애덤스 이야기>는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대문호 헤밍웨이의 작품으로 그의 유년기 이후부터 중년기까지의 삶이 고스란히 문학적으로 뛰어나게 재조립되어 탄생한 캐릭터인 닉 애덤스를 주인공으로 한 연작 단편만 모아 한 권으로 엮은 작품으로 헤밍웨이의 진솔한 고백과 닉 애덤스의 독창적 사유가 한 몸이 되어 그리는 한 인간의 태어남과 스러짐, 사랑과 이별, 체념과 욕망, 과거에 대한 향수와 미래로의 의지를 모두 목격하게 되는 기대되는 작품입니다. 묵묵하게 일상의 소중함을 아는 닉의 세게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생각이 많아지게 하는 느낌이 듭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부 북부의 숲은 닉의 유년기로 세발의 총성에서 어두운 숲속에 혼자 있지도 못하는 겁쟁이였던 닉은 인디언 마을에서 처음으로 죽음을 의식하고 목격하면서 인생이라는 거대한 여정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바라볼수 있게 됩니다. 인디언 여인의 출산을 돕기 위해 의사인 아버지와 함께 인디언 마을로 갑니다. “봐, 아기가 태어났다, 닉. 인턴으로 일해 본 소감이 어때?” 닉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과 그 힘든 과정을 차마 지켜보지 못한 아기 아버지의 자살이라는 인생의 탄생과 죽음의 양쪽을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겪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버지에게 죽음에 관한 질문을 던진 후 자신을 절대 죽지 않으리라 다짐합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2부에서는 혼자의 힘으로 청년기의 닉을 만날 수 있으면 3부 전쟁에서는 닉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고 부상을 입고 정신적 외상에 시달리는 모습에서 작가 헤밍웨이의 자전적인 내용이 짙어 보입니다. 그 역시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입대를 원했지만 시력 장애로 거부당하고 적십자 부대의 응급차 운전병으로 지원하여 이탈리아로 갔습니다. 그러던 중 다리에 포탄을 맞고 전장에서 부상을 입은 과거가 있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전선이 아니라, 이제 더 이상 전선은 꿈에 나오지 않았고, 헤어날 수 없으리만치 두려운 것은 그 기다란 노란 집과 실제보다 더 넓은 강이었다. ---p.184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은 글은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으로 4부 병사의 고향 이야기입니다. 전장에서 돌아온 닉이 정신적 고통을 치유하려 애쓰는 과정을 담은 내용으로 “움직이는 송어를 보자 닉의 심장이 조여 왔다. 묘한 감정이 느껴졌다.” 며 언덕을 오르며 근육이 쑤시고 날은 무더웠지만 생각할 필요도 없고 글을 쓸 필요도 없고 뭐든 할 필요가 없는 그런 날들이 행복이라고 했습니다. 송어를 바라보는 모습이 노인과 바다의 한 장면도 연상케 합니다. 불에 타 검게 변한 메뚜기를 날려 보내고 강에서 잡은 송어 한 마리를 놓아주는 행위는 정신적 고통에서 탈피하여 마음의 평온을 되찾고자 하는 닉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생각됩니다. 북부의 숲에서 시작되어 아버지들과 아들들의 이야기까지 인생의 파노라마를 연상케 해주는 훌륭한 작품으로 오래도록 기억될 것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다른 어떤 일보다 글쓰기가 훨씬 더 재미있었다. 사실은 그래서 글을 썼다. 전에는 깨닫지 못했지만, 닉이 글을 쓰는 이유는 양심의 발로가 아니라 그저 너무 재미있고 그 무엇보다 짜릿해서였다. 잘 쓰는 건 지독히 어렵기도 했다. 수많은 기교가 있었다. 그런 기교를 사용하면 글을 쉽게 써낼 수 있었다. 모두가 기교를 사용했다. 조이스는 수백 가지의 새로운 기교를 발명했다. 새롭다고 해서 반드시 더 좋은 건 아니다. 모든 것은 결구 진부 해진다.---p.276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대문호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작품 닉 애덤스 이야기는 그의 유년기 이후부터 중년기까지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난 문학적으로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닉 애덤스를 주인공으로 한 연작 단편만 모아 한 권으로 엮은 빛소굴 출판사의 시도가 훌륭합니다. 한 인간의 태어남과 스러짐, 사랑과 이별, 체념과 욕망, 과거에 대한 향수와 미래로의 의지를 모두 만나게 됩니다. 서른 여덟의 닉은 그의 식지 않는 열정을 아버지와의 경험에 돌립니다. 단편 모음이지만 장편소설 같이 인간의 죽음, 사랑, 전쟁, 치유, 가족 등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겪는 일들이 헤밍웨이의 문체로 만나게 되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대문호 헤밍웨이가 남긴 그의 자전적 이야기가 담긴 캐릭터를 통해 단편집이 주는 맛을 느껴 볼 수 있는 신작이다.
빛소굴 세계문학세계문학전집 시리즈로 선보인 이번 작품 속 내용은 헤밍웨이의 유년부터 중년기까지의 삶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하는데 그의 분신처럼 여겨지는 등장인물 '닉'을 통해 인생에 관한 면면들을 살펴볼 수 있는 점이라 뜻깊다고 할 수 있다.
1부에서 북부 숲에서 삼촌과 아버지가 낚시를 간 사이 세발의 총성을 통해 혼자 있다는 두려움을 느끼는 장면과 인디언 마을에서 출산을 돕는 과정에서 생각하는 생명에 대한 태어남과 자살을 계기로 본 죽음의 관계를 생각하는 닉의 마음은 트라우마를 겪는 이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해 아버지에게 죽음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모습에서는 죽지 않겠다는 다짐을 보인다.
헤밍웨이의 작품들을 읽다 보면 인간의 삶의 여정에서 부딪칠 수 있는 역경이나 현장의 묘사 부분들이 남성 작가로서의 투박하면서도 왠지 더 끌리는 문체 때문에 작품 곳곳에 그가 들려주는 내용들이 가까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 작품 속 단편들 또한 기존 문학작품에서 익히 느껴온 바를 그대로 이어받는다.
2부의 청년기, 3부의 전쟁에서 겪는 닉의 모습에서 더 자전적인 모습들이 드러나며 4부에 이르러 병사의 고향이야기를 관통하면서 전쟁에 대한 고통을 치유함과 동시에 송어를 대하는 장면들은 '노인과 바다'를 떠오르게 한다.
이처럼 그의 장편이 아닌 단편들만 모아서 새로운 문학작품 출간으로 세상에 나온 이번 작품들은 아버지와 아들의 시절, 청년기를 거쳐 전쟁을 경험하고 다시 자연의 송어를 봄으로써 인생사에 흐르는 생동감과 죽음, 사랑과 이별, 고통, 치유에 이르기까지 우리들 인생을 보는 것 같은 장면을 통해 작가의 작품 세계를 다시 들여다보는 시간이 뜻깊다.
헤밍웨이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단편만이 주는 매력에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