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책 제목부터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흥미가 생기는 제목이다. 뭔가 체계적으로 웹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적혀있을꺼 같다. 저자도 웹 프로그래밍 내가 알고 계시고 지켜보았던 분이시라. 이 책에 대한 구매욕구가 더욱 불타올랐다. ㅎㅎ 어느정도 내용을 정독했을때는 어느정도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어야 할꺼 같다. 내용은 어느 정도 튼실하고.. 한번쯤은 볼만한 책인거 같다. 추천드립니다.
최근의 프로그래밍이 프레임워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자처하면서 실제 구현 방식이나 구동 원리는 모르는 개발자가 흔해지는 상황에서
이 책은 '몰라도 상관은 없지만, 사실은 알아야 하는 내용' 을 설명하고 있다.
디자인 패턴조차 낯설고, Interface와 추상클래스를 구분하지 못하며,
Spring 같은 프레임워크가 애노테이션을 붙이는 것만으로 끝나는 개발에 질려 있다면 꼭 보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어떻게' 쓰는지는 알지만 '왜' 그렇게 돌아가는지가 궁금하다면)
단, 최소 2년 정도 Java/Web 기반의 개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특히 추천한다.
웹프로그래밍 이라는 제목에
흥미가 많이 갔던 책이다.
내가 웹프로그램 개발쪽을 하다보니
더욱 책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나 책에서 얘기하는 양파껍질 학습법에 대해서도
흥미가 생기기도 했다.
저자분이 강의를 하면서 했던 학습법을
책에 담기위해서 많은 고민과 노력을 한 듯 하다.
책에서 예전 웹프로그래밍을 jsp 로 하던 방식의 코드에서 부터
현재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쓰는 단계까지
점차적으로 리팩토링 하고 구조를 개선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어서 좋았던듯 하다.
일부러 그 개선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클래스들을
스프링 프레임워크나 ibatis 의 클래스들에 맞춘것도
독자들이 읽고 더 이해하기 쉽도록 한 듯 해서 좋았다.
각 단원마다 힌트로 독자들이 따라갈 수 있도록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부분도
참고할 만한 서적이나, 내용들을 담고 있는 것도 좋은거 같다.
오랜만에 jsp 코드부터 이전에 작업하던 서블릿 프로그래밍도 봐서
개인적으로 반갑기도 했다.
책에서
다루는 리팩토링 과정과 그에 따른 junit 로 테스트 코드를 만드는 부분은
개발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인듯 하다.
책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이 책은 프로그래밍 경력이 없는 독자들이 읽기에는 힘들수도 있을 듯 하다.
리팩토링 이나 프레임워크 에 대해서 접해본 독자들이라면 더욱 도움이 많이 될 듯 한 책이다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유튜브에서 처음으로 이 책의 저자이신 박재성님의 영상을 접하게 되고
왠지 모를 믿음감이 생겨 이 책을 구매하였다.
이 책의 구성으로는
개발자에 대한 개발자에 관한 이야기
문자열 계산기 구현을 통한 테스트와 리팩토링
개발 환경 구축 및 웹 서버 실습 요구사항
HTTP 웹 서버 구현을 통해 HTTP 이해하기
웹 서버 리팩토링, 서블릿 컨테이너와 서블릿의 관계
서블릿/JSP를 할용해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DB를 활용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AJAX를 활용해 새로고침 없이 데이터 갱신하기
새로운 MVC 프레임워크 구현을 통한 점진적 개선
의존관계 주입을 통한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 만들기
확장성 있는 DI 프레임워크로 개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